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가 몸속에 잠복 상태로 존재하고 있다가 다시 활성화되면서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피부에 발진이나 물집이 생기며 통증이 동반되고 바이러스가 신경에 침투해 병을 일으킵니다. 수두에 걸린 적이 있거나 수두 예방접종을 한 적이 있으면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가 몸속에 존재합니다.
면역력이 떨어지면 신경을 따라 이동해 활동을 시작하며 보통 수일 사이에 피부에 발진이 생깁니다. 또한 물집이 생기며 해당 부위에 통증이 생기게 됩니다.
보통 면역력이 떨어지는 60세 이상 성인에게 잘 생기지만 젊은 사람도 스트레스, 피로, 다른 질병 등으로 면역력이 떨어지면 드물게 나타나기도 합니다. 보통 피부에 국한되어 증상이 나타나지만 면역력이 크게 떨어져 있는 사람에게는 전신에 퍼져서 사망할 수 있습니다.
원인 및 증상
원인은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이며 어린아이가 걸리는 수두의 원인체와 동일한 바이러스입니다. 소아기에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바이러스는 몸속에서 완전히 사라지지 않습니다. 체내에 남아 있는 수두 바이러스는 신경을 따라 신경절에 잠복해 있지만 겉으로 드러나는 병적인 증상은 없습니다. 하지만 몸이 약해지거나 신체 면역력이 떨어지면 잠복해 있던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가 활성화되어 피부로 내려와 다시 염증을 일으키거나 전신으로 퍼질 수 있습니다.
우리 몸의 신경은 척추에서 왼쪽, 오른쪽으로 한 가닥씩 나와있습니다. 대상포진에 걸리면 몸의 한쪽에만 수포와 통증을 동반한 피부 병변이 생기며 주로 감각신경에 침범하는 현상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증상은 몸의 한쪽으로 심한 통증이나 감각 이상이 나타납니다. 피부에 붉은 반점이 물집으로 변하게 되고, 여드름처럼 고름이 차다가 딱지로 변합니다. 물집은 몸통을 길게 감싸는 모양으로 번지고 신경절을 따라 한쪽 몸에만 나타납니다.
호흡 곤란, 복통, 두통, 근육통의 증상이 있고 이때는 수포병변이 없이 가렵고 아파 근육통이나 다른 질환으로 오인해 피부과가 아닌 다른 진료과에서 검사를 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수일 이내에 물집이 나타나게 되면 대상포진인지 알 수 있고 물집이 생기면 3일 이내에 고름집 모양으로 변하며 일주일이 지나면 딱지가 생깁니다.
항바이러스제를 사용해도 합병증으로 대상포진 후 신경통이 올 수 있는데 발진이 사라져도 발진이 있던 자리에 통증이 남기도 합니다. 대상포진 환자는 타는 것 같은 느낌, 감각이 둔하거나 예민한 느낌을 호소합니다. 대상포진은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주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치료하는 것이 좋습니다.
치료를 시작하면 치유가 빠르지만 증상을 잘 관리하지 않으면 2차 세균감염이 발생합니다. 눈 주위에 생기면 눈에 합병증이 오거나 홍채염이나 각막염을 일으켜 실명할 수 있습니다. 귀나 안면부에 생기면 신경마비 증상이 올 수 있고 뇌에 침투하면 뇌수막염으로 진행됩니다.
전체 환자 중 5% 미만에서 운동신경을 침범할 수 있는데 운동신경 마비로 팔, 다리를 못 드는 경우가 생깁니다.
대상포진 후신경통은 발진이 없어지고 1개월 이상 통증이 지속됩니다. 60세 이상 환자에서 40%까지 발생하지만 60세 미만에서는 10% 미만으로 발생합니다. 이 통증은 지속되면 우울증과 불면증을 생기게 하여 삶의 질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초기에 발견해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진단
수두에 걸렸던 사람이 대상포진에 걸리기 때문에 수두에 걸린 적이 있는지, 예방접종 이력이 있는지 먼저 확인합니다. 병적인 변화가 특이하기 때문에 증상을 관찰하여 임상적으로 진단합니다. 대상포진 때문에 생긴 물집은 특징적인 모양이 있어서 물집을 관찰해 확인할 수 있지만 면역억제 환자는 변화가 특징적이지 않아 진단이 늦어질 수 있습니다.
물집을 면봉으로 긁어서 바이러스를 찾기도 하지만 물집 없이 통증만 있으면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수포액을 세포 배양해 바이러스를 검출할 수 있고, 핵산을 검출하는 중합효소연쇄반응도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환자에게는 검사 비용에 비해 효율이 좋지 않기 때문에 치료 방법으로는 잘 선택하지 않습니다.
치료 방법 및 예방
최근 항바이러스제 개발로 치료에 도움이 많이 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바이러스를 완전히 퇴치할 수 있는 약은 없습니다. 바이러스를 없앨 수는 없지만 합병증이나 기타 증상을 줄일 수는 있습니다. 초기에 항바이러스제를 투약해 신경통 발생을 예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진통제를 투여하기도 하는데 치료 시작이 늦거나 고령의 사람, 암 등이 있으면 약물 치료 후에도 통증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환자 상태에 따라 다르지만 한 달에서 일 년 정도 지속되기도 합니다.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나 마약성 진통제는 통증에 도움이 될 수 있고 약물 치료로 효과가 없다면 신경 블록을 시행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예방백신이 개발돼서 60세 이상의 성인에게 1회 접종을 추천할 수 있습니다.
대상포진 환자와 접촉했다고 전염되지는 않지만 수두에 걸린 적이 있거나 어린이 또는 입원 환자에게는 대상포진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격리하는 것이 좋습니다.